Study/Text
-
이화에 월백하고, 다정가/이조년Study/Text 2014. 6. 20. 10:50
이화에 월백하고 - 다정가(多情歌)/이조년(李兆年) 梨花月白三更天(이화월백삼경천)啼血聲聲怨杜鵑(제혈성성원두견)儘覺多情原是病(진각다정원시병)不關人事不成眠(불관인사불성면) 이화(梨花)에 월백(月白)하고 은한(銀漢)이 삼경(三更)인제일지춘심(一枝春心)을 자규(子規)야 알랴마는다정(多情)도 병(病)인 양하여 잠 못 드러 하노라 하얗게 핀 배꽃에 달은 환히 비치고은하수는 자정 무렵을 알리는 때에 배꽃 한 가지에 어린 봄날의 정서를소쩍새가 알고서 저리 우는 것일까마는 다정다감한 나는 그것이 병인 듯 하여잠을 이루지 못하노라.
-
논어, 학이편, 제16장Study/Text 2014. 5. 30. 14:28
논어(論語), 학이편(學而篇) 제16장(第十六章) 子曰 "不患人之不己知, 患不知人也." 자왈 "불환인지불기지, 환부지인야." 공자께서 말씀하시기에, "남이 자기를 알아주지 않는 것을 근심하지 말고, 자기가 남을 알지 못하는 것을 근심하라." 은풍 왈, 남에게서 인정을 받으려면, 먼저 내가 남을 인정할 줄 알아야 할 것이다. 남을 인정한다 함에는 내가 남에게서 인정받기 위함이 아니라는 것을 경계해야한다. 또한 남을 인정한다 함에는, 나와 네가 올고 그름으로 나눠지는 것이 아닌 서로 같고 다름의 차이가 있음을 인정한다는 것으로 생각되는 바, 결국 너와 나 사이에 다름이 있음을 인정하는 것이 남을 인정하는 그 첫걸음이 아닐까 싶다.
-
내 마음은/김동명Study/Text 2014. 3. 8. 01:15
내 마음은 호수(湖水)요, 그대 노 저어 오오. 나는 그대의 흰 그림자를 안고, 옥 같이 그대의 뱃전에 부서지리라. 내 마음은 촛불이요, 그대 저 문을 닫아 주오. 나는 그대의 비단 옷자락에 떨며, 고요히 최후의 한 방울도 남김없이 타오리다. 내 마음은 나그네요, 그대 피리를 불어주오, 나는 달 아래 귀를 기울이며, 호젓이 나의 밤을 새이오리다. 내 마음은 낙엽이요, 잠깐 그대의 뜰에 머무르게 하오. 이제 바람이 일면 나는 또 나그네같이, 외로이 그대를 떠나오리다.
-
36계(三十六計)Study/Text 2013. 11. 22. 23:16
승전계(勝戰計) : 제1계∼제6계 제1계. 만천과해(瞞天過海) : 하늘을 가리고 바다를 건너다.주도면밀하게 준비를 하면 나태해지고, 자주 보면 의심하지 않게 된다. 음(陰)은 양(陽) 속에 있는 것이지. 양의 대립편에 있는 것이 아니다. 태양(太陽)은 태음(太陰)이다. 제2계. 위위구조(圍魏救趙) : 위나라를 포위하여 조나라를 구하다.적을 공격하는 것은 분산시키느니만 못하고, 공개적으로 공격하는 것은 비밀리에 공격하느니만 못하다. 제3계. 차도살인(借刀殺人) : 남의 칼을 빌려 사람을 해치다.적은 분명하고 친구는 아직 정해지지 않았을 때, 남의 힘을 빌려 적을 치는 것은 자신의 힘을 쓰지 않고 '각출'로써 일이 진행되도록 하는 것이다. 제4계. 이일대로(以逸待勞) : 쉬면서 힘을 비축했다가 피로에 지친 ..
-
논어, 학이편, 제1장Study/Text 2013. 11. 12. 00:19
논어(論語), 학이편(學而篇) 제1장(第一章) 子曰 "學而時習之 不亦悅乎? 有朋自遠方來 不亦樂乎? 人不知而不慍 不亦君子乎?"자왈 학이시습지 불역열호? 유붕자원방래 불역낙호? 인불지이불온 불역군자호? 공자께서 말씀하시기에, "배우고 때로배운 것을 익히면 역시 기쁘지 아니한가?벗이 먼 곳에서 찾아오니 역시 즐겁지 아니한가?남이 알아주지 않아도 탓하지 않으면 역시 군자답지 않겠는가?" 은풍 왈, 배우고 배운 것을 익히는 것에서 공자는 기쁨을 느꼈다고 "카더라~" 과연 배우고 또 배운 것을 익힌다는 것이 기쁨일까? 맹목적인 배움에서는 기쁨을 찾기 쉽지 않을 것 같다. 하지만 그러한 과정 속에서도 쌓이는 '지식'은 있을 것이고 그러한 지식이 쌓이고 習한다면 삶을 살아가는 지혜가 될 것임은 자명하다. 물론 그 지혜..
-
대학, 제7장Study/Text 2013. 4. 1. 19:57
대학(大學),제7장(第七章) 所謂 脩身在正其心者: 소위 수신재정기심자: 身有所忿懥, 則不得其正.신소유분치, 즉부득기정.有所恐懼, 則不得其正.유소공구, 즉부득기정.有所好樂, 則不得其正.유소호요, 즉부득기정.有所憂患, 則不得其正.유소우환, 즉부득기정. 心不在焉, 視而不見, 聽而不聞, 食而不知其味.심재부언, 시이불견, 청이불문, 식이부지기미. 此謂 脩身在正其心.차위 수신재정기심. 右傳之七章, 釋正心修身.우전지칠장,석정심수신. 이른바 몸을 닦는데는 그에 마음을 바르게 가짐에 있다는 것을 이르니: 마음에 노하는 바가 있으면 그로하여 바르게 다스려지지 아니하며,마음에 두려워하는 바가 있으면 그로하여 바르게 다스려지지 아니하며,마음에 즐거워하는 바가 있으면 그로 하여 바르게 다스려지지 아니하며,마음에 걱정하는 바가 ..